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학교 밖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식사·생활용품 지원 정보

by 먼저 아팠던 사람 2025. 5. 1.
반응형

2025년, 학교 밖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식사·생활용품 지원 정보

학교 밖 청소년도 따뜻한 밥 한 끼, 필요한 생활용품을 무료 또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와 기관이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이용 가능한 주요 서비스를 지역별·유형별로 정리했습니다.

1. 청소년쉼터 · 청소년자립지원관 무료 식사 및 생활용품 제공

teen shelter support

teen shelter support

운영 기관: 보건복지부 / 각 지역 청소년쉼터, 자립지원관 지원 내용:

  • 1일 2~3회 무료 식사 제공
  • 샴푸, 칫솔, 속옷, 계절 의류 등 생활 필수품 지급
  • 샤워실, 세탁기, 휴식 공간 제공

이용 방법: - 가까운 청소년쉼터 또는 자립지원관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 - 대부분 **상시 이용 가능**, 숙박 여부는 별도 상담 필요 찾는 방법: - 포털 검색: “○○(지역명) 청소년쉼터” - 예: “서울 중구 청소년쉼터”, “광주 남구 자립지원관”

2. 지역 꿈드림센터 급식 지원 연계

teen meal support

teen meal support

운영 기관: 여성가족부 ·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 지원 대상: - 등록된 학교 밖 청소년 - 정규 학업 중단 후 복귀 계획 또는 진로 탐색 중인 청소년 지원 형태:

  • 급식 지원 카드 (지역화폐 방식)
  • 센터 내 간편식, 도시락, 컵라면 등 상시 제공
  • 외부 제휴 급식 장소 (편의점, 식당 등) 이용 가능

신청 방법: - 가까운 꿈드림센터 상담 후 등록 → 급식 지원 신청 - 일부 지역은 소득조사 없이도 가능 홈페이지: https://www.kdream.or.kr

3. 청소년카페/청년공간 무료 식사 및 간식 지원

teen community cafe

운영 기관: 각 지자체 청년센터, 청소년카페, 상담센터 등 대표 사례:

  • 서울시 ‘영테이블’: 주 1~3회 무료 정식 식사 제공
  • 성남시 ‘청년식탁’: 1일 1회 무료 식사, 생수, 간식
  • 경기도 부천시 ‘청년스테이션’: 요일별 간편식 + 위생용품 비치

이용 방법: - 대부분 **회원가입 없이 방문 이용 가능** - 운영 요일·시간 상이 → 지역 청년공간 SNS 또는 홈페이지 확인 필요

4. 민간단체 무료 키트 신청 (생리대, 속옷, 화장품 포함)

teen relief kit

대표 단체 및 지원 내용:

  • 지파운데이션: 생리대+속옷+세면용품 키트 (연 2회)
  • 한국여성재단: 청소년 생리대 키트 (상시 공모 형태)
  • 대한적십자사: 희망풍차 프로그램 → 신청자 맞춤 키트 지원

신청 방법: - 각 단체 홈페이지 내 “청소년 지원” 또는 “키트 신청” 메뉴 확인 - 간단한 사연과 주소 입력 후 택배 발송 (비공개 가능)

따뜻한 정리

밥 한 끼, 비누 한 장, 양말 한 켤레가 누군가에겐 삶을 버티게 하는 기본이 됩니다. 학교 밖 청소년도 도움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지금 가까운 센터의 문을 두드려보세요. 작은 물건보다 더 큰 마음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