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공간정보 학교 밖 청소년이 쓸 수 있는 2025년 무료 독서실 안내
집에서 혼자 공부하는 게 어렵고, 조용히 집중할 장소가 필요한 청소년들을 위해 전국 각지에 마련된 무료 독서 공간이 2025년 현재 확대 운영되고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도 아무 조건 없이, 또는 간단한 등록 절차만으로 이용 가능한 실제 장소들을 지역별로 정리했습니다.
1. 꿈드림센터 내 공부방·학습실 운영
teen study room
운영 기관: 여성가족부 ·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 이용 대상: 만 9~24세 학교 밖 청소년 (센터 등록 필수) 시설 구성:
- 개별 좌석형 학습실 (조용한 독서실 형태)
- 소규모 그룹스터디실
- PC 학습 공간, 와이파이 완비
이용 방법: - 가까운 꿈드림센터 등록 후 상시 이용 가능 - 예약제 운영일 경우 전화 또는 방문 신청 링크: https://www.kdream.or.kr
2. 서울시 청소년카페 ‘휴카페’ 학습공간
Seoul teen cafe
운영 기관: 서울특별시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운영 형태: - 강남, 마포, 송파, 중랑, 은평 등 자치구별 운영 중 - **학교 밖 청소년 포함 누구나 이용 가능** 주요 시설:
- 무료 좌석형 책상 + 콘센트 + 와이파이
- 공부 중 간단한 간식·음료 무료 제공
- 시험기간 집중존 운영
이용 방법: - 현장방문 → 회원가입 또는 간단한 서명 - 일부 공간은 예약제 (네이버 예약 또는 전화)
3. 지자체 청소년문화의집 공부방
teen culture center
운영 기관: 각 시·군·구 청소년문화의집 이용 대상: 청소년 누구나 / 학교 밖 청소년 포함 대표 지역:
- 수원시청소년문화센터: 매일 자율학습실 운영
- 부산 해운대청소년문화의집: 야간공부방 운영
- 광주 동구청소년센터: 시험 대비 집중공부실
이용 방법: - 센터 방문 또는 지역별 홈페이지 예약 - 시간제 운영이 많아 일정 확인 필수
4. 공공도서관 학습실 이용 + 특별지정좌석
teen library desk
운영 기관: 전국 시·군 공공도서관 이용 방식: - 청소년 전용 지정 좌석 운영 도서관 증가 - 학교 밖 청소년도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이용 가능 주요 예시:
- 인천 부평도서관: 청소년 전용 열람실 별도 운영
- 대전 유성도서관: 스마트예약 좌석제로 집중 학습 환경 제공
- 전북 전주완산도서관: 검정고시 준비 청소년에게 우선 배정
신청 방법: -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 좌석예약 또는 현장 등록
5. 지역 청년센터/청소년카페 자율 공간
teen self study zone
운영 기관: 청년지원센터, 청소년쉼터 부설 카페 등 공간 구성: - 1~2인용 학습책상 - 프린터, 노트북 대여, 커피머신 등 편의시설 - 일부 센터에서는 야간 개방 운영 이용 예시: - 서울 은평청소년진로카페 ‘도란도란’ - 경기 김포 ‘청춘라운지’ - 대전 ‘청년플랫폼 청:터’ 이용 방법: - 네이버 검색 → ‘[지역명] 청소년카페/청년공간’ - SNS 통해 운영 시간 및 이용 조건 확인 가능
따뜻한 정리
조용한 책상, 따뜻한 불빛, 와이파이가 있는 그 작은 공간이 당신의 진로와 자립을 위한 큰 출발이 될 수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도 공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주저하지 말고, 당신을 기다리고 있는 그 공간에 가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