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가 무슨 네일 아티스트를 하냐고 선생님이 웃으셨어요."
"간호학과 가겠다고 했더니 '남자가 왜 간호사를 해? 의사를 해야지'라는 말을 들었어요."
"공대 진학 상담하러 갔는데 '여자는 공대 가면 힘들어. 인문계가 낫지 않겠냐'고 하시더라고요."
2025년 지금도 전국 학교 진로 상담실에서 매일 일어나는 실제 이야기입니다.
여러분은 진로를 선택할 때 자유로웠나요? 아니면 "그건 남자(여자) 직업인데?"라는 말을 들은 적 있나요? 바로 이것이 성평등 문제의 핵심입니다.

2025년 진로 상담실의 충격적 진실
선생님의 입에서 나오는 차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진로교육 현장에서 성차별적 언행이 발생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학교가 9.6%나 됩니다.
"여자는 예뻐야 되고, 시집만 잘 가면 된다", "남고 직업체험에 간호사를 배치하면 어떻게 하냐"는 발언을 상담교사가 직접 했다는 충격적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네일아트 체험을 한 남학생을 담임교사가 비웃는 일도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방치
성차별을 경험한 학교의 45%가 '특별한 대응 없이 넘어갔다'고 답했습니다.
학생들이 성차별을 당해도 64.7%는 '대처하지 않고 그냥 넘어갔다'고 합니다.
체육 시간의 이중잣대
"남자는 농구 슛 10개 해야 1급인데, 여자는 5개만 해도 1급을 주는 식으로 기준이 달랐어요."
"선생님이 '남자니까 무거운 물건을 들라'고 하는 것도 차별 아닌가요?"
10대 남학생의 29.7%가 초·중·고교 때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왜 진로가 성평등 문제일까?
꿈을 포기하게 만드는 편견
윤리교육과를 가고 싶은데 수도권에는 대부분 여대에 있어서 남학생은 지원조차 못 합니다.
간호학과, 유아교육과처럼 "여자 직업"으로 인식되는 분야에 관심 있는 남학생들이 주변의 비웃음 때문에 포기합니다.
공대나 이공계를 가고 싶은 여학생들이 "여자는 수학·과학이 약해"라는 편견에 가로막힙니다.
미래의 기회를 빼앗는 순간
지금 진로를 선택할 때 받는 성차별이 10년 후 여러분의 직업, 연봉,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
비전통적 직업에 관심 있는 학생의 77.4%가 주변의 부정적 반응을 경험했습니다.
능력이 아닌 성별로 평가받는 사회
"남자는 이공계, 여자는 인문계"라는 틀에 갇히면 개인의 재능과 열정은 무시됩니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학생들은 나중에 직장에서도 비슷한 차별을 당연하게 받아들입니다.
성평등이 10대에게 주는 실질적 혜택
진짜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할 자유
성평등이 실현되면 패션 디자이너를 꿈꾸는 남학생, 소방관이 되고 싶은 여학생 모두 응원받습니다.
성별과 관계없이 능력과 열정으로 평가받는 사회가 됩니다.
더 넓어지는 취업 기회
글로벌 기업들은 다양성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
젠더 감수성이 있는 청소년은 대학 입시에서도, 취업 면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경제적 성공 가능성
성평등 의식이 높은 사회일수록 GDP가 평균 3.5% 증가합니다.
여러분이 창업하거나 회사를 운영할 때 성별이 아닌 능력으로 인재를 뽑으면 더 성공합니다.
실제로 변화하는 10대들
남학생들의 목소리
"특정 성별이 잘할 수 있는 직업은 이제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 경찰 시험 체력 기준도 남녀 똑같이 하고, 당당하게 '나도 들어왔다' 하면 욕 안 들을 것 같아요."
10대 남성의 57.6%만이 '특정 성별이 잘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답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여학생들의 도전
380여 명의 청소년이 성평등 콘텐츠 공모전에 참여해 자신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스쿨 미투' 운동을 통해 학교 내 성차별에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실천할 수 있는 성평등
진로 탐색할 때
'남자 직업', '여자 직업'이라는 구분 없이 내가 진짜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 찾기.
비전통적 진로를 선택한 친구를 응원하고 지지하기.
학교에서
진로 상담 시 성차별적 발언을 들었다면 학생회나 신뢰하는 선생님에게 알리기.
"남자는/여자는"으로 시작하는 말 대신 "우리는", "학생은"으로 바꿔 말하기.
SNS에서
다양한 직업에서 활약하는 롤모델 찾아보기. 여성 과학자, 남성 간호사, 여성 소방관 등.
성역할 고정관념을 깨는 콘텐츠 공유하기.
집에서
부모님이 "남자답게", "여자답게" 같은 표현을 쓰시면 왜 그것이 문제인지 대화하기.
가족과 함께 성평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미래를 바꾸는 선택
지금 진로 상담실에서 들은 한마디가 여러분의 10년 후를 결정합니다.
선생님의 편견 섞인 조언 때문에 꿈을 포기하지 마세요. 성별이 아닌 여러분의 열정과 능력이 중요합니다.
10대 때 형성된 가치관은 평생 갑니다. 지금 성평등을 이해하고 실천하면 20대에는 차별 없는 직장을 선택할 수 있고, 30대에는 평등한 가정을 꾸릴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작은 행동 하나가 친구에게, 학급에게, 그리고 사회 전체에 변화를 만듭니다.
성평등은 어려운 이론이 아닙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되고 싶은 사람이 되는 것. 그리고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응원하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여러분도 성평등 실천가가 되어보세요. 진짜 하고 싶은 일을 당당히 선택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해서요.
'1. 몸과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학생인데 성형수술 해도 될까? (3) | 2025.08.05 |
|---|---|
| 외모 스트레스, 거울 볼 때마다 한숨 나는 이유 (1) | 2025.07.25 |
| 🎯 생리 전에 욱하는 감정,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3) | 2025.07.16 |
| 10대 청소년, 급식이 싫은 진짜 이유와 식욕 회복 루틴 (0) | 2025.07.08 |
| 스트레스 해소법, 진짜 효과 본 방법만 모았다 (4) | 2025.06.22 |